◉ 저기압 용어
▷Disturbance (요란)
cf) Disturbance, Depression : 열대성 저기압 에서만 주로 사용
▷Depression (저압부)
▷Low (저기압)
- 기압측면 - 기압이 주변보다 낮은지역
▷Cyclone (저기압)
- 방향측면 - 바람이 반시계방향으로
◉ 전선의 유,무에 따른 저기압의 분류
▷전선저기압 (Frontal Cyclone = Extra-tropical cyclone = frontal low)
- cyclone : 북반구에서 반시계방향
-전선 동반
-기압경도가 큰 온대(뜨거움)와 한대(차가움) 경계에서 주로 발생.
-대부분의 온대성 저기압이 전선 저기압 (온대저기압 : Extra-tropical cyclone = Mid-latitude cyclone)
▷비전선 저기압 (Non-frontal cyclone)
- 열대성 저기압 : 열대 해양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의 총칭
- 지형성 저기압(orographic low or depression) : 산맥의 풍하측에 잘 생김
(풍하측 : 산에 바람이 불어올 때 그 반대편)
- 열적 저기압(thermal low) : 국지적으로 지형이 차등 가열될 경우 상승운동이 일어나고 저기압 생성
TD | Tropical disturbance | 열대요란 | 중심 최대 풍속 : 10 m/s 이하 | 20 knot 이하 |
TD | Tropical depression | 열대성 저기압 | 중심 최대 풍속 : 17 m/s | 34 knot |
TS | Tropical storm | 열대 폭풍우 | 중심 최대 풍속 : 17~32 m/s | 34~64 knot |
TY | Typhoon | 태풍 | 중심 최대 풍속 : 32 m/s 이상 | 64 knot 이상 |
cf ) TD (Tropical disturbance)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만 언급하여 일기도에 표시하는 경향.
TS부터 태풍 이름 부여 및 태풍경보 발령
Typhoon : 동북아시아 , Hurricane : 미국 , Cyclone : 인도 , Willy-Willy : 호주
RSMC (Regional Specialized Meteorological Centre) : 열대저기압에 대한 관측 및 예보하는 기관
◉ 온대성 저기압
- 열대 이외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저기압성 요란 (대규모 : 1000~2000 km 이상)
- Frontal low나 Frontal cyclone
- Polar front를 가로지르는 온도차이로부터 에너지를 얻어 발달
- 서에서 동으로 이동
- Polar front를 wave shape로 변형 → Wave cyclone, Frontal wave
- 단순하게 저기압으로 불림
◉ 전선발생과 소멸
▷ Frontogenesis → 전선의 발생
1) Pre-development stage(정체전선 혹은 각 전선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천천히 흐르는 한랭전선)
2) Incipient(Wave Cyclone) stage(저기압 중심 반시계방향으로 frontal wave 생성. 따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
하는 찬 공기는 한랭전선,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하는 따뜻한 공기는 온난전선)
▷ Frontolysis → 전선의 소멸
3) Occluded stage(기압경도력 때문에 Cyclone 주위의 바람은 증가. 한랭전선이 온난전선 따라잡으며 폐색)
4) Dissipating stage(온도 차이[temp. gradient]가 해소되면서 에너지원이 없어져서 소멸)
◉ 전선에서 발생하는 기상
▷기상발생을 좌우하는 요인
- 가용수분의 양 (구름의 생성 여부에 관여)
- 강제 상승되는 기류의 안정도 (적운형 or 층운형)
- 전선의 경사 (1/50~1/150 : 한랭→적운 , 1/150~1/300 : 온난→층운)
- 전선의 이동 속도 (온난 : 25knot , 한랭 : 35knot)
- 상층 바람의 흐름 (상층이 하층의 날씨 조정→Steering (500hpa풍향/풍속이 하층날씨관여), Westward tilt)
▷instability line (불안정선)
- 선 모양으로 악기상 지역을 동반하는 강한 수렴선
- 좁고 비전선성 line, 대류 활발한 밴드, 뇌우 발달
- 한랭전선 전방(50~100nm 떨어져서) 온난기단 내에 잘 발생
- Squall line 으로 불림
Squall : 갑자기 솟아오르는 강한 바람으로 보통 적어도 1분 동안 지속되며 좀 더 긴 지속 시간을 갖는 돌풍(Gust)과 구별된다. 풍속이 적어도 16㏏ (8m/s)이상 급격히 증가하여 22kt (11m/s) 이상 되는 풍속이 적어도 1분 이상 지속된다. 스콜은수평적으로 수 ㎞, 수직적으로 수천 ft 까지 확장되는 규모가 큰 적란운과 격렬한 대류활동과 종종 연관 된다. |
▷건조선 (Dry line)
- 수분량의 차이만으로 존재 (건조, 습윤 기단의 만남)
- 노점 전선
: Thunderstorm
'일상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VIATION WEATHER- Wind shear (0) | 2022.09.17 |
---|---|
AVIATION WEATHER- 항공기 난류 (0) | 2022.09.17 |
AVIATION WEATHER- 기단과 전선 (0) | 2022.09.17 |
AVIATION WEATHER- 구름 (0) | 2022.09.17 |
AVIATION WEATHER- 안정도 (0) | 2022.09.1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