◉ 기단(Airmass)의 개념
▷공간적으로 물리적 성질이 균일하거나 그 변화가 매우 완만한 거대한 공기덩이
→온도 / 습도 / 안정도
▷전형적 크기
- 1000nm (수평크기) (수직크기 max. 10km - 대류권내)
- 시간규모 : 수일~ 수주일
▷발원지(source region)
- 지상조건이 균일하고 바람이 약한 지역
- 눈과 얼음으로 덮힌 넓은 극지역
- 한랭한 북쪽 해양
- 열대해양, 사막지역
- 중위도 지역은 발원지로 부적당 (저, 고위도의 영향으로 공기의 이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남)
◉ 기단의 분류 및 특성
▷기단은 발원지의 위도, 지표면 성질 등에 의해 분류
▷위도에 따른 분류 (Cold 기단 : 극, 한대 기단 / Warm 기단 : 열대, 적도 기단)
- Arctic Air Masses (A) : 극기단
- Polar Air Masses (P) : 한대기단
- Tropical Air Masses (T) : 열대기단
- Equatorial Air Masses (E) : 적도기단
cf. 적도기단의 존재 여부 판단 : ITCZ (inter tropical convergence zone : 적도 부근에서 남방,
북방기단이 수렴되는 위치)가 여름에 우리나라 부근까지 올라옴
▷지표면 성질에 따른 분류
- continental air mass (C) : 대륙성 기단 (건조) ex) CP : 시베리아 기단
- maritime air mass (M) : 해양성 기단 (습윤) ex) MT : 북태평양 기단
▷열 역학적 특성에 따른 분류
- 기단이 발원지를 떠나 움직이는 지면의 열역학적 특성에 따른 분류
- Warm (w) : 온난 기단, 기단이 하부지면이나 수면보다 따뜻. 안정적 (상부가 따뜻) ex) CPw
- cold (k) : 한랭 기단, 기단이 하부지면이나 수면보다 차가움. 불안정 ex) CPk
◉ 기단의 변질 (Airmass Modification)
▷기단 발원지를 떠나 움직이면 지표면 상태나 성질이 달라져 변질됨
- 빠르게 움직이면 변화가 적다. 느리게 움직이면 변화가 많다.
▷변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
-하부로부터 가열이나 냉각
-증발에 의해 수증기 부가, 수증기 제거
┌응결에 의한 제거 : rain out
└강수에 의한 제거 : wash out
-난류혼합
-발산과 수렴
-상승, 하강운동
◉ 기단의 안정도와 일기 특성
▷Unstable air
- 적운형 구름
- 소낙성 강수
- rough air
- good visibility
▷Stable air
- 층운형 구름, 안개
- 연속성 강수 (약함)
- smooth air
- Fair to poor visibility
◉ 전선의 정의
▷기단
- 장시간 특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
- 다른 기단이 가까이 접촉 하더라도 쉽게 혼합되지 않음
- 서로 다른 물리적 성질(temperature, humidity, wind)을 가진 기단 사이 경계지역 형성 → 전선
◉ 전선의 불연속성 (discontinuity)
▷전선 횡단 시 한 기단 특성에서 다른 특성으로 변화가 아주 급격함.
▷온도 변화 가장 쉽게 인식 (저고도, 빠르게 이동하는 전선에서 가장 두드러짐) (통과 전: 따뜻함/통과 중,후: 참)
- 전선 통과 비행 시 고도계 수정 유의 [추운 지역으로 비행 시 지시고도 보다 실제 고도가 더 낮다]
▷노점 온도 변화 (수증기 양의 변화)
- 구름의 양, 안개 차이에 의한 식별 용이
▷바람의 변화
- 풍향 or 풍속의 변화 or 둘 모두 변화 (풍속보다 풍향의 변화가 더 크다) (풍향은 전선 통과 시 오른쪽으로)
( 풍속 : 한랭 전선 쪽이 더 강함 )
▷기압의 변화
- 전선 통과 전 낮아짐, 통과 시 급격히 증가, 통과 후 증가
- 전선은 기압골 상에 놓임
- 기압은 일반적으로 한랭공기에서 더 높음
- 고도계 유지에 주의
온난전선 앞 : 남동풍 , 온난전선 뒤& 한랭전선 앞 : 남서풍 , 한랭전선 뒤 : 북서풍
◉ 전선의 분류
▷전선대 (Frontal zone)
- 전선은 얇은 선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좁은 구역으로 나타남.
- 전이대 폭은 0.5 nm~100 nm
- 보통 상층보다 지면부근이 더 좁음 (기압경도력의 차이 때문)
- 전선대는 항상 일기도상의 한랭 면에 위치
▷한랭전선 (Cold front)
- 주로 북동/남서에서 시작, 동쪽으로 이동
- 후방의 한랭 공기가 온난 공기 아래로 쐐기 모양으로 파고 듬
- 마찰층 바로 위의 전선에 수직한 바람의 성분 속도로 이동 (↑한랭전선 // ↓온난전선)
(35km/h. 온난전선에 비해 빠름) [cf) 한랭전선 통과 “후” wind shear 발생]
- 온난전선 보다 경사가 큼 (1/50~1/150)
- 적운형 구름, 소낙성 구름, 뇌우, 난류
▷온난전선 (Warm front)
- cf)온난전선 통과 “전”에 Low level wind shear 발생
- 후방의 온난 공기가 한랭공기 위로 타고 올라감
- 이동 속도가 한랭 전선보다 저속 (25km/h)
- 한랭 전선보다 경사가 완만 (1/150~1/300)
- 층운형 구름, 연속성 강수, 난류 거의 없음
▷폐색 전선(Occluded front)
- 삼각형과 반달 모양 같은 쪽으로 그려짐
-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잡아 발생.
- 온난 공기는 완전히 상층으로 밀려 올라감 (안정하여 더 이상 발달하지 않고 소멸)
-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의 기상특성 동반
- 한랭형 폐색과 온난형 폐색 (한랭형 : 후방 - cold, 전방 - warm // 온난형 : 후방 - warm, 전방 - cold)
▷정체전선(Stationary front)
- 삼각형과 반달 모양이 반대 방향으로 그려짐
- 본질적으로 움직임이 없는 전선 (수일간 지속)
- 서로 다른 밀도의 인접한 기단에 의한 반대 힘에 의해 전선면이 거의 없거나 움직임이 없음
(ex.장마전선 - 북태평양&오호츠크해 기단이 만나서 생성)
- 지상풍이 전선과 평행하게 불고 방향은 반대 (북 : 동품, 남 : 서풍)
'일상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VIATION WEATHER- Wind shear (0) | 2022.09.17 |
---|---|
AVIATION WEATHER- 항공기 난류 (0) | 2022.09.17 |
AVIATION WEATHER- 저기압 (0) | 2022.09.17 |
AVIATION WEATHER- 구름 (0) | 2022.09.17 |
AVIATION WEATHER- 안정도 (0) | 2022.09.1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