◉ 안개 (Fog)
▷ 안개의 특성
- 상대습도 100%에 근접
- 물방울 (Water Drop or Ice Crystal)이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현상
- 아래 부분이 지면에 접합. Base가 AGL 50ft 이하 : Fog / 두께가 20ft 미만 : Ground fog
- 수평시정 1 km 미만 ( 박무 [mist] : 수평시정 1~5km, 상대습도 80%이상
연무 [haze] : 시정 5km 이하, 건조한 물방울 (상대습도가 70% 이하)
▷ 안개의 생성 조건 연기
- [smoke] : 시정 1km 이하, 상대습도 90%이하
- 풍부한 수증기
- 풍부한 응결핵
- 바람이 약할 것 ( 5knots 내외 )
- 주간 담천 , 야간 호천 (주간에는 날씨 흐려야, 야간에는 날씨 좋아야)
▷ 안개 형성 2가지 원인
- by cooling air to its dew point - ‘냉각’에 의한 안개
- by adding moisture to air near the ground - ‘증발’에 의한 안개
◉ 안개의 분류
▷ 공기의 냉각에 의한 안개
1) 복사무 (Ground fog, radiation fog)
-하늘이 맑고 바람이 약하거나 없는 야간에 복사냉각에 의해 생성.
-봄, 가을에 내륙지방에 형성.
-소산하며 층운을 형성하기도 함
-일출 후 빠르게 소산
-Spread 가 적을 경우 잘 발생 (Fog or Low cloud는 Spread가 2°C(4°F)이하일 때 발생)
2) 이류무 (advection fog)
-찬 해면이나 수면 위로 따뜻한 공기가 이류시 접촉냉각 or 혼합냉각에 의해 생성
-주로 바다에 많이 생겨서 sea fog(해무) 라고도 함
-바람이 다소 강함 (10~15 knots)
-바람이 15 knots 초과 시 낮은 층운으로 발전
3) 활승무 (Up-slope fog)
-산을 이용 바람이 상승→고도에 따라 단열팽창 냉각→포화에 도달→안개 생성
-산과 공기의 운동에 따라 생기므로 날씨와 무관
4) Ice fog
-기온이 –32°C (-25°F) 이하로 내려갈 경우 수증기는 얼음으로 승화(Sublimation)됨
▷ 증발에 의한 안개
1) 증기무 (Stream fog)
-상대적으로 온난한 해수면 위로 차고 건조한 공기 이류시 발생 : 새벽 목욕탕!?
-대기 불안정 상태에서 발생 → Sea smoke (다른 안개는 안정할 경우 발생)
2) 전선무 (Frontal fog / Precipitation fog: 강수무)
-상대적으로 온난한 비나 이슬비 내리는 찬 대기에서 발생
-온난전선에서 주로 발생
▷ Haze
-건조한 물방울로 형성. 수천 ft의 두께(최대 1만5천ft). 하늘을 어두운 노란색 or 불그스름하게 한다.
-Haze layer 위의 시정은 좋지만, Haze 이내의 시정은 좋지 않다.
▷ Smoke
-점화 입자의 부유물, 일출/일몰 때 붉은 하늘이 smoke. 25mile 이상 이동한 smoke의 큰 입자는 가라앉고 Haze처럼 하늘을 회색 혹은 푸르스름하게 보이게 함.
▷ Smog
-Fog와 Smoke의 결합물. 넓은 지역에 저시정. 안정적 공기와 지형적 장애물 등이 원인.
▷ Dust
-공기중 토양의 부유물. 바람이 세고 불안정한 대기상태일 때 수백mile 이동.
'일상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VIATION WEATHER- 항공기상관련 자료 (0) | 2022.09.18 |
---|---|
AVIATION WEATHER- 뇌우 (0) | 2022.09.18 |
AVIATION WEATHER- 착빙 (0) | 2022.09.18 |
AVIATION WEATHER- Wind shear (0) | 2022.09.17 |
AVIATION WEATHER- 항공기 난류 (0) | 2022.09.17 |
댓글